티스토리 뷰
18세기 후반 영국에서 산업혁명이 일어난 이후 사람이 아닌 기계를 이용한 대량공급이 가능해지면서 현대인들은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살게 되었죠.
물론 빈부의 격차도 심해지고 있지만 예전보다는 좀 더 편리한 삶을 영위하고 있음은 분명하죠. 또한 어릴적 위인전으로 읽던 토마스 에디슨은 많은 발명품으로 세상을 변화시켰죠.
1847년 미국 태생인 토마슨 에디슨은 21세부터 특허를 획득하기 시작하였죠. 그의 사망이후 2년후인 1933년까지 전세계에 1200개 이상의 특허를 출원하였다죠. 2주 한번 꼴로 발명을 하고 특허를 출원하였으니 발명왕으로 불리는게 어색하지 않죠. 그럼 그의 대표적인 발명품인 전구를 살펴보고 이외 우리가 미처 알지못했던 다른 발명품들도 살펴보겠습니다.
백열 전구
위대한 발명왕으로 기억되는 에디슨은 사실 전례없는 발명이 아닌 이전의 것을 개선시키고 이를 사업에 적용한 사업가로 이름을 날렸죠. 에디슨 최고의 발명품인 전구의 경우도 유일무이한 발명이 아닌 기존의 특허를 사들이고 이를 개선하고 소송을 통해 최종적으로 자신의 발명품으로 만든거죠. 현대에도 애플의 아이팟 아이폰 아이패드 등도 기존에 발명된 제품에 혁신을 입혀서 세계적인 인기를 끈거라 생각할 수 있죠.
암튼 수백번의 실패를 거치면서 자신의 것으로 만든 백열 전구를 발판으로 에디슨은 전기회사를 설립하고 천문학적인 돈을 벌게되죠. 바로 이 회사가 미국의 GE(제너럴 일렉트릭)의 모체가 되었죠.
콘크리트 건물
전기 자동차 배터리
미국은 물론 중국 유럽 등 전기자동차 생산이 본격화되고 있죠. 친환경 차량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테슬라, 비야디 등 세계적인 기업들이 성능이 향상된 전기차들을 선보이면서 빠르게 기존 가솔린 차량을 대체하고 있죠. 전기차의 핵심이 바로 차량 배터리인데 애디슨은 100년 전에 이미 전기차 대중화를 예측하였죠.
1899년 에디슨은 알칼리 축전기를 통해 자동차가 전기로 구동될 수 있다고 발표하였죠. 이에 1900년에 생산된 미국 자동차 4천여대 중 천대 이상이 전기자동차로 출시되었죠. 한번 충전으로 100마일 즉 160km를 달릴 수 있는 배터리 개발을 목표로 연구에 매진하였죠.
하지만 가솔린 차량을 대량생산하기 시작한 자동차 업체에 가려 10년 후 전기차 배터리 연구는 포기하였죠. 비록 전기자동차 대중화에 실패했지만 철도 신호, 광부 전조등에 사용되었고 그의 친구인 헨리 포드(Henry Ford)는 Model T에 알칼리 축전기를 적용하였습니다.
과일 채소 진공포장용기
그가 처해진 모든 환경은 발명을 위한 재료를 공급해주죠. 과일과 야채를 실온에 그냥 방치해두면 색이 바래고 맛도 덜해지니 신선함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을 고민한 에디슨... 1881년에 과일 채소는 물론 기타 유기물질을 유리 용기에 진공 보관하는 방법을 발명하고 바로 특허를 출원하였죠.
그는 백열 전구를 개발하는 동안 유리 진공관을 사용하였는데 과일 등을 유리 용기에 채우고 공기를 펌프로 빨아 들여 밀봉하였죠. 에디슨이 현대에 태어났다면 세계 최고의 부자가 되었을겁니다.
전기펜
1876년에 에디슨은 전기펜 특허를 냈죠. 손으로 쓴 문서와 그림을 복제하기 위해 발명된 것이죠. 초당 50회씩 펜촉이 두들겨져서 쉽게 복제가 가능하여 일명 압축펜에 대한 인기는 사그러들지 않았죠. 하지만 배터리가 장착된 펜이라 관련 지식이 없으면 계속 사용이 불가했죠.
그러던 중 뉴욕 문신 예술가인 Samuel O'relly에 의해 전기펜을 문신펜으로 둔갑시켰죠. 펜촉은 바늘로 교체되었고 빠른 문신 작업이 가능하여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죠. 문신 산업에 일대 혁명이라 일컬어진다죠.
전기 미터기
우리의 일상은 전기로 시작해서 전기로 끝나죠. 그리고 한달에 한번 전기 사용량에 따라 전기요금을 냅니다. 하지만 전기를 사용하던 초창기 전기 사용량을 자세히 알 수가 없었죠. 또 에디슨이 등장합니다. 1881년에 개발된 전기미터기는 전기 사용시 전해셀을 하나씩 갈아주는 방식으로 전기량을 측정하였죠.
이상 우리가 알지 못했던 토마스 에디슨(Thomas Edison)의 놀라운 발명품 top5였습니다.
이외 중국 시진핑 주석이 자금성을 통째로 비우고 트럼프에게 황제대우 영접을 했다는데 자금성은 도대체 어떤 곳인지 아래 영상을 통해 살펴볼께요.
- Total
- Today
- Yesterday